Surprise Me!

[현장연결] 질병청 "핼러윈데이 맞아 유흥시설 모임 자제해야"

2020-10-26 0 Dailymotion

[현장연결] 질병청 "핼러윈데이 맞아 유흥시설 모임 자제해야"<br /><br />중앙방역대책본부가 국내 코로나19 현황을 브리핑합니다.<br /><br />현장 연결해 직접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정은경 / 중앙방역대책본부장]<br /><br />10월 26일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4명이 확인되었고 해외 유입 사례는 25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만5,995명입니다. 현재는 1,593명이 격리치료 중이시며 위중증환자는 53명이고 어제는 사망자가 추가로 발생하지는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국내 주요 발생 현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서울 구로구 일가족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에 부천시 무용학원 관련돼서, 포함해서 13명이 추가로 확진되어 현재까지는 총 누적 확진자 수는 40명입니다.<br /><br />경기 여주시의 장애인복지시설과 관련하여 10월 21일 첫 확진환자가 발생한 후에 역학조사를 통해 27명이 추가로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 수는 총 28명입니다. 이 중에는 입소자가 20명이고 직원이 7명 그리고 방문자가 1명입니다.<br /><br />경기 남양주시의 행복해요양원과 관련하여 격리 중인 10명이 추가로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 수는 총 59명입니다. 이 중에는 입소자가 30명이고 종사자가 19명 그리고 요양원 외에 추가 전파가 10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<br /><br />경기 광주시 SRC재활병원과 관련하여 격리 중에 있는 7명이 추가로 확진되어 총 누적 확진자는 135명입니다.<br /><br />경남 창원시 가족모임과 관련하여 10월 25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에 접촉자 조사를 통해 9명이 추가로 확진되어 현재까지는 총 10명이 확진되었으며 가족모임으로 인한 전파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일주간의 방역관리 상황 및 위험 요인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국내 발생 환자는 최근 일주일간 일일 평균 75.3명으로 지난주에 비해서는 약 평균 13명이 증가하였습니다. 해외 유입 환자는 최근 1주간에 약 평균적으로 20명이 발생하여 지난주 18명보다는 2명이 증가한 상황입니다. 최근 일주간의 감염경로를 살펴보면 병원 및 요양시설에서의 발생이 221명으로 전체 확진자의 33.1%로 대폭 증가한 상황입니다. 해외 유입 사례는 140명이 보고가 되어 전체 확진자의 21%로 이 또한 증가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국내 집단발생 관련해서는 137명 20.5%이며 선행 확진자하고의 접촉은 15%였습니다. 감염경로가 조사 중인 사례는 68명에 전체 확진자 비중에 10.2%로 조사 중인 사례의 비율은 일부 감소하였습니다. 최근 1주간의 사망자는 총 14명이 발생하여서 한 주에 평균 13명 정도 전후의 사망자가 보고되고 있는 상황입니다. 사망하신 분들의 연령은 80대 어르신이 6명이셨고 70대 어르신이 두 분 그리고 60대 어르신이 6명으로서 모두 60대 이상의 어르신에서 사망이 발생하였습니다.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가 12명이었고 나머지 두 분은 기저질환 유무에 대해서 조사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. 다시 한 번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족께는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.<br /><br />연령별 치명률을 보면 여전히 80대 이상의 어르신들은 20. 5%를 보여주고 있고 70대 어르신들께서는 7.1%, 60대는 1.3%의 사례 대비 치명률을 보여주고 있는 상황입니다. 현재 병원 및 요양시설에서의 노출이 많아지고 또 이런 고령층에서의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어서 앞으로는 위중증환자의 발생과 사망자 발생에 대해서는 예의주시하면서 정확한 치료가 되게끔 사례 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지난주의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한 세 가지 정도의 위협요인이 여전히 있다라고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첫 번째는 요양병원, 요양시설 등 요양시설 등 감염이 취약한 시설에서의 집단감염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위험요인이 있습니다.<br /><br />두 번째로는 유럽 등 해외에서의 재확산이 약화되고 있고 세 번째로는 가을철 들어서 각종 행사, 모임, 여행 등이 증가함에 따라 유행이 확산될 것을 우려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 최근 집단감염이 발생한 요양병원 시설 등에 대해 중앙방역대책본부와 지자체가 실시한 역학조사를 분석해 본 결과 감염 관리에 미흡한 점 등이 확인됨에 따라 감염 취약시설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방역관리 대책을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역학조사 시에 확인된 주요한 위협요인을 살펴보면 방역관리자가 지정이 안 되어 있는 시설들이 있었고 또 유증상자에 대한 감시도 소홀한 면이 있었습니다. 또한 신규 입소자에 대해서는 사전검사를 요양원, 요양시설은 의무화하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시설에서도 사전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시설도 있었고 또 일반인들에 대한 출입통제도 미흡한 시설이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와 관련해서는 병실 내에 대부분의 요양병원, 요양시설은 병실 내의 환자의 밀집도가 높고 또 병상 간에 간격이 협소한 등 감염에 취약한 그런 입원환경 등도 지적이 되었습니다. 참고로 코로나19 의심증상 발생 후에 진단까지 소요된 기간이 짧게는 2일이었지만 최대 5일 지나서 진단된 진단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그 경우 동안에 상당수 시설 내에서의 전파가 일어났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한 입소자 중에서의 확진환자 발생률을 보면 14%에서 어느 시설에서는 100%가 확진된 그런 사례들도 있어서 한 번 시설 내에 코로나바이러스가 유입된 경우에는 시설 내에 전파의 위험은 굉장히 높다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.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주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요양병원, 요양시설에 대한 종사자와 또 출퇴근하는 이용자에 대한 전수검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. 이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비수도권 지역까지도 전수검사를 실시하는 방안 등 계획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또한 감염취약시설에서의 방역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런 시설에 대한 종사자 교육과 또 현장점검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 종사자가 지켜야 될 핵심적인 행동수칙을 마련해서 반복적으로 안내하고 표준교육 동영상 자료를 배포하여 감염관리의 역량을 높이고자 합니다.<br /><br />또한 요양병원 감염관리 대상자를 요양병원뿐만이 아니라 요양병원, 정신병원, 재활병원 등으로 확대해서 시행하도록 하겠습니다. 이러한 고위험군들이 많이 거주하고 계시는 요양시설, 병원 등은 고령자 또 기저질환자, 그리고 감염률 중증도가 ...

Buy Now on CodeCanyon